전체 글

You can be anything!
· 인프라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중 하나가 OSI 7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Layers)입니다.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각각의 계층이 특정한 역할을 담당하도록 정의한 국제 표준 모델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OSI 7계층의 구조와 역할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1. OSI 7 계층이란?∎ 정의OSI 7계층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누어 설명하는 모델입니다.국제 표준화기구(ISO)가 정의한 네트워크 통신 표준 모델.각각의 계층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특정 기능을 수행합니다. ∎ 왜 필요한가?표준화: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통합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호환성 보장.문제 해결: 네트..
· 인프라
인터넷을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바로 TCP/IP 입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웹 브라우징, 이메일, 파일 전송 같은 활동은 모두 TCP/IP 덕분에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용어가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CP/IP의 개념, 작동 원리, 주요 구성 요소를 자세하고 쉽게 설명하겠습니다.1. TCP/IP란 무엇인가?∎ 정의TCP/IP는 인터넷 통신의 기본 규칙을 정의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입니다.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 데이터를 목적지에 전달하기 위한 주소 지정과 경로 설정.TCP/IP는 인터넷 통신의 "언어"로, 서로 다..
· 인프라
데이터센터는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하는 핵심 인프라 입니다.구글, 페이스북, 네이버 같은 대규모 플랫폼부터 소규모 기업의 IT 환경까지, 모든 디지털 서비스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물리적인 공간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센터 인프라의 기본 개념, 주요 구성 요소, 그리고 데이터센터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데이터센터란 무엇인가?데이터센터(Data Center)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서버를 물리적으로 배치한 시설입니다.이곳은 네트워크, 전력, 냉각 시스템, 보안 등이 통합적으로 관리되며, 기업의 TI 인프라의 중심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센터의 주요 목적데이터 저장: 중요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서비스 제공: 클라우드 서비스, 웹 애플리케이..
· 인프라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과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과,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요? 컴퓨터, 스마트폰, 프린터 같은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네트워크의 기본 원리와 장치들이 조화롭게 작동하기 때문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네트워크 구성의 기초 개념을 차근차근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네트워크는 간단히 말하면, 두 개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구조를 말합니다.예를 들어,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같은 Wi-Fi를 사용해 서로 파일을 주고 받는 것도 하나의 네트워크입니다. 왜 네트워크가 필요할까요?파일을 쉽게 공유하기 위해.여러 사람이 하나의 프린터나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해.데이터를 효율적..
· 인프라
1. 라우터란 무엇인가?① 정의라우터는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전달하고 최적의 경로를 찾아주는 장치입니다.역할: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작동계층: 네트워크 계층(Layer 3)에서 동작하며, IP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② 라우터가 필요한 이유네트워크 간 통신(예: 가정 네트워크와 인터넷 연결최적의 경로로 데이터를 전달해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보안 기능 제공(방화벽, NAT 등) ③ 방화벽 기능네트워크 트래픽을 필터링하여 악의적인 트래픽을 차단.특정 포트나 IP 주소 차단 설정 가능. ④ DHCP 서버네트워크 장치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관리가 간편하고 충돌 방지. ⑤ QoS(Quality of Service)네트워크 트래픽을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하여 대역폭을 ..
·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에서 스위치(Switch), 브로드캐스트 도메인(Broadcast Domain), 그리고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은 데이터 전달과 네트워크 관리의 핵심 개념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세 가지 개념과 상호작용, 그리고 실무에서의 활용 방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1. 스위치(Swtich)란?① 정의스위치는 네트워크에서 여러 장치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입니다.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네트워크 성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② 작동 원리MAC 주소 학습: 스위치는 연결된 장치의 MAC 주소를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적절한 포트로 전달.포워딩(Forwarding): 특정 장치로만 데이터를 전달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임. ③..
· 인프라
네트워크에서 스위치(Switch)는 데이터를 전달하고, 장치 간 연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핵심 장치입니다.스위치는 소규모 가정 네트워크부터 대규모 기업 환경까지 다양한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위치의 기본 개념, 주요 기능, 종류, 그리고 활용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1. 스위치란 무엇인가?스위치는 네트워크 내 여러 장치(컴퓨터, 프린터, 서버 등)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교환하는 장치입니다.역할: 데이터 패킷(프레임)을 전달하고, 네트워크의 성능과 효율성을 높임.작동 계층:대부분의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Layer2) 에서 작동일부 고급 스위치는 네트워크 계층(Layer3) 기능도 지원.2. 스위치의 주요 기능① MAC 주소 학습(MAC Address Learning)스위치는..
· 인프라
네트워크 설계에서 L2스위칭과 L3라우팅은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이 두 기술은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각각의 용도와 기능이 다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L2 스위칭과 L3 라우팅의 개념, 작동방식, 차이점, 그리고 주요 활용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1. L2 스위칭이란?① 정의L2 스위칭은 데이터 링크 계층(Layer2)에서 작동하며,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패킷(프레임)을 전달하는 기술입니다. 주로 스위치에서 사용됩니다.② 작동 원리MAC 주소 테이블스위치는 네트워크 장치의 MAC 주소와 포트를 기록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적절한 포트로 전달.브로드 캐스트처음에는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브로드캐스트)하고, 이후 MAC 주소를 학습하여 최적화.③ 주요 기능프레임 전달: 동..
· 인프라
IP Address와 Subnet Mask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꼭 필요한 개념입니다. IP 주소는 장치를 식별하고,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의 범위를 정의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IP Address와 Subent Mask의 개념, 작동 원리, 사용 방법 등을 쉽게 설명하겠습니다.1. IP Address란?∎ 정의IP Address(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주소입니다.역할: 데이터를 전송할 때 목적지를 지정하고, 송신 장치를 식별.표현 방식: IPv4와 IPv6로 나뉩니다.∎ IPv4와 IPv6IPv432비트 주소 체계, 4개의 숫자로 구성(192.168.1.1.)0~255 사이의 숫자를 점으로 구분약 43억 개의 고유 주소 제공.IPv6128비..
· 인프라
컴퓨터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이진수를 사용합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숫자는 십진수인데, 이진수는 십진수와 다르게 0과 1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진수와 십진수의 개념, 변환 방법, 사용 이유와 활용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1. 이진수란?∎ 정의이진수(Binary Number)는 0과 1로 구성된 숫자 체계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입니다.기본 단위: 2(Base 2)예시: 1011(이진수)∎ 왜 이진수를 사용할까?컴퓨터는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압이 높음(1)과 전압이 낮음(0)을 구별하기 쉬워 이진수를 사용.단순한 0과 1의 조합으로 모든 데이터를 표현 가능. ∎ 비트와 바이트비트(Bit): 이진수의 한 자리(0또는 1)바이트(Byte): 8개..
teon98
TEON의 개발일기